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교육3

연구개발업 근로자정기교육 2025년 상반기 안녕하세요! 한동안 정신없이 바빴다가 올해 들어서 드디어 안정을 찾게되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원 분들 새해 들어서 프로젝트 계획 세우고 실험도 하시느라 정신없으실텐데요 그래도 언제나 안전이 최우선인 것은 올해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업 근로자정기교육의 교육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산업안전보건법은 1981년 12월 31일에 제정되었다고 합니다.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호하기 위해 근로기준법에서 분리된 독립된 법이라고 합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은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취업제한규칙 이렇게 구성되어있다고 합니다.    추가로, 1개의 법률과 1개의 시행령도 있다고 합니다. 3.. 2025. 2. 3.
2022년 화학 안전 교육 답안 (2021, 2022, 2023) 2021년도 화학 안전 교육 답안에 이어 2022년도 문답을 알아봅시다! 안전 교육은 매년 새로운 문제들이 출제되기도 하지만, 과거에 나온 문제가 다시 출제되기도 합니다! 관련 종사자분들께서는 안전불감증에 빠지지 말고 경각심을 갖고 자신의 몸을 보호하시길 응원합니다~! [2022년] 1.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적합하고 가솔린,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에 취약한 내화학성 보호장갑의 재질은? 답: 부틸 고무 2. GHS/MSDS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관한 기준 원칙이 아닌 것은? 답: 전문가의 경험에 의한 분류 3.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답: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이 매우 많아 MSDS는 컴퓨터 내에 파일로 보관한다. 4. 매우 부식성이 강하여 유리도 부식.. 2023. 7. 4.
2021년 화학 안전 교육 답안 (2021, 2022, 2023) 안전 교육은 매년 새로운 문제들이 출제되기도 하지만, 과거에 나온 문제가 다시 출제되기도 합니다! 관련 종사자분들께서는 안전불감증에 빠지지 말고 경각심을 갖고 자신의 몸을 보호하시길 응원합니다~! [2021 년도] 1. 연구실에서 화학물질 누출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해야 하는 행동은 무엇인가요? 답: 사고에 대한 상황전파 해설: 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 주변에 사고에 대한 상황을 전파해야 한다. 2. 다음 유기화합물 중 말초신경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은? 답: 케톤류 해설: 유기화합물에 따른 중추신경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 말초신경: 케톤류, 헥산류 - 간독성: 염화탄화수소, DMF - 신독성: 염화탄화수소 , 글리콜 3. 화학물질 사고 처리 시 고려해야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답: .. 2023. 7. 4.
반응형